새 시즌을 시작할 때 우선시 해야하는 요소 두 가지를 꼽자면, 빠른 기지 레벨업과 자원지 확보일 것이다. 남들보다 기지 레벨업이 빨라야 전초기지를 먼저 지어 자원지를 선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지 레벨업에 필요한 자원을 수급해서 안정적으로 기지를 강화할 수 있다.
만약에 기지가 레벨마다 어떤 구역을 해금해야하고, 자원은 얼마나 필요하며, 메인퀘스트로 얻어지는 자원은 어느 정도이고, 퀘스트 클리어 조건은 무엇인가 등을 알고 있다면 미리 다음 단계를 준비해서 헤매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하기 위해 기지와 메인 퀘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정리해놓은 것이다.
1. 메인 퀘스트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CHmLrnstpFMdRtXTfg1Sj5RWHtQnFk9WxgrJIORmNEo/edit?usp=sharing
메인퀘스트 정리
Sheet1 챕터,조건,금속,크리스탈,듀테륨,UEC,written by Ryuwoo of NNP(냥냥펀치) 1. 기지를 향해,호위함 조선소 1레벨 달성,1,200 ,10 ,5 일반 포트1 2레벨 달성,3,200 ,10 ,10 주력함 생산 라인1 1레벨 달성,720 ,5 ,5
docs.google.com
시즌2 이상 은하계에서의 메인퀘스트를 정리했다. 시즌1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 참고가능하다.
초반 자원은 채굴보다 메인퀘스트로 얻는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메인퀘스트에서 요구하는 기지 시설도 지어야 한다. 그러다 기지 7레벨 정도(메인퀘스트로는 16장)부터는 메인퀘스트로 얻는 자원보다 채굴로 얻는 비중이 월등히 더 높아지기 때문에, 이 때부터는 메인퀘스트를 무시하고 기지 레벨업에 전념해도 무방하다.
2. 기지(Base)
기지 레벨은 다음 레벨 확장 조건에 해당하는 필수 시설을 먼저 개발한 후, 일정량의 금속을 소모해야 올릴 수 있다. 위의 사진은 기지 레벨4에서 5로 올라가는 과정인데, 확장 조건으로 일반포트4 5레벨, 확장 창고 레벨 5, 금속 500k를 요구하고 있다. 확장 버튼을 누르면 위에 표시된 시간만큼 기다린 후 기지 레벨이 상승한다.
기지 내 시설은 중심 지구, 포트, 공업 지구로 나뉜다. 중심 지구는 주로 기지 밖에서 함대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방어, 증원, 호위, 건설 등)에 관련된 시설들이 있다. 포트는 함대의 포트수, 자원의 저장량, 함재기 편대 수 등 주로 용량과 관련이 있다. 공업지구는 주로 생산과 관련된 시설이며, 함대의 생산을 위한 라인 개발이나 UEC를 얻어낼 수 있는 거주 구역 개발 등이 있다.
기지 확장은 다른 기지 시설 개발과 중복되지 않으므로, 먼저 기지 확장에 필요한 시설부터 개발해 기지 확장을 눌러 놓고, 그 동안 메인퀘스트에 필요한 시설이나 원하는 시설을 건설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기지 시설 정리.xlsx
Sheet1 기지 레벨,기지 확장 시간, 요구 금속,최대 작전 구역 개수,기지 시설,번영도,레벨,시간,금속,필요 금속 생산량,크리스탈,듀테륨,written by Ryuwoo of NNP(냥냥펀치) 1,5,함대 지휘 본부,20,1,0시간 00
docs.google.com
기지가 다음 레벨로 올라가는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 기지 내 시설 업그레이드를 위한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정리해 두었다. 다음 기지 레벨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시설은 레벨과 소모되는 시간의 색을 다르게 해 강조해두었다.
Lagrange's encyclopedia
Index Lagrange's encyclopedia by NullPointer (request#6746) More data on wiki : <a href="https://infinite-lagrange.fandom.com/wiki/Infinite_Lagrange_Wiki">https://infinite-lagrange.fandom.com/wiki/Infinite_Lagrange_Wiki</a> All images from the game copyrig
docs.google.com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번역은 안되있지만 NullPointer라는 사람이 정리해 놓은 스프레드 시트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3. 기지 레벨별 전략
초반에는 자원수급을 위해 메인퀘스트 클리어를 위한 시설 개발을 병행하다가 후반에는 메인퀘스트를 무시하고 필요한 시설을 개발해나가는 식으로 진행하면 무난하다.
기지 개발 순서는 정해진 것은 없으며, 서버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다. 서버 상황이 금방이라도 전쟁이 터질 것 같다면 시설 개발에 투자하던 자원을 함대 생산에 사용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방해될만한 상황이 없다면 아래의 기지 레벨별 전략을 참고 할 수 있다.
1) 기지 레벨 1
시설 : 일반포트 3레벨, 창고 4레벨, 결합 생산라인 4레벨 (동원령 사용) - 기지레벨업 - 호위함 조선소, 엔지니어링 함선 조선소 1레벨 - 일반포트 5레벨, 창고 5레벨- 호위함 조선소, 전술 아이템 발사 플랫폼 개발
행동 : 레벨 1 사략선 3번 이상 격파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 생산시 금속 위주로 채굴
생산: (엔지니어링 함선 조선소 1레벨 개발 이후)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로 즉시 생산)
(호위함 조선소 건설 이후) 호위함 5대 생산
보통 금요일 오후 6시에 서버가 열린다. 서버가 열리자마자 들어가면, 동원령(1개당 기지시설 개발 시간을 5분 단축) 24개(연합소속기준), 수리용 모듈 40개(1개당 함선 생산이나 수리 시간 5분 단축), 함선으로는 FG300 다용도 3대가 주어진다.
먼저 기지 레벨업을 위한 필수 시설(일반포트 3레벨, 창고4레벨, 주력함 생산라인1 4레벨)을 바로 동원령으로 개발해서 기지 레벨업을 누른다. 기지 레벨2가 되기까지 40분이 걸리는데 그동안 호위함 조선소와 엔지니어링 함선 조선소를 각각 1레벨 개발한다(동원령X, 동원령은 필수시설에만 사용해야 전체적인 기지 레벨업 속도가 빨라짐). 1레벨씩 개발이 완료되었으면 아직 레벨을 다 올리지 않은 일반포트와 창고를 5레벨까지 개발하면서, 생산라인에서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을 생산한다.
이 때 수리용 모듈을 이용하여 바로 생산하여 가장 가까운 자원(주로 금속)을 채굴하는 것이 좋다. 자원 당 붙일 수 있는 채굴선 제한이 없어졌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필요한 자원에 엔지선을 모두 몰아서 채굴 하면 된다. 초반에 기지에 우주먼지가 있는데 그걸 바로 캐는 것도 좋다. 기지 밖에 채굴을 보낼때에는 엔지선이 목표 자원까지 최대한 워프할 수 있게 작전구역을 기지에서 가능한 멀리 자원에 걸치게 만들어준다. 작전구역내에서는 일반이동하는데 일반이동하는 시간이 길수록 채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동시에 메인퀘스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주어진 FG300 다용도 3대로 함대를 만들어 기지 주변의 레벨 1 사략선 함대를 최소 3번 사냥해준다. 생각보다 다기능 FG300이 약해서 죽는 경우도 생기므로, 테크포인트가 있다면 먼저 회피, 방어 위주로 투자시키고 전투에 내보내는 것이 좋다. 나중에 다기능에 투자한 테크포인트 초기화를 시켜서(시스템당 1회무료) FG300 정찰형에 넣어주면된다.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을 자원 포트 최대치까지 생산 한 뒤에는 메인퀘스트 충족(호위함 8대보유)을 위해 호위함을 5대 더 생산 해준다. 단, 이 때 너무 비싼 호위함을 생산하면 기지 레벨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함선이 파괴되면 자원 증발과 사실상 동일한 의미이므로 전투목적으로는 S급 회피 탱커인 카릴 특수형과, 그 뒤에서 힐을 제공하는 노마 지원형을 생산하거나 정찰목적으로 FG 300 정찰형을 생산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반포트와 창고를 5레벨까지 쉼없이 올렸다면 아직 기지레벨이 2가되기까지 시간이 남았을텐데 그 남는 시간동안은 호위함 조선소, 전술 아이템 발사 플랫폼을 추가 개발해준다. 결합생산라인은 5레벨 찍는 자원이 기지 1렙에서는 부담되기 때문에 일단은 내버려두는게 좋다.
+ 결합 생산라인은 구축함이나 순양함, 전투순양함, 항공모함, 지원함 조선소를 개발하지 않고도 생산할 수 있는 라인이다(대신 자원과 생산시간이 더 필요, 해당하는 조선소 개발시 정상화). 하지만 이걸 이용해 현재 생산가능한 함급 라인보다 높은 함급을 미리 생산하는건 별로 추천하지 않는데, 자원적으로 손해일뿐만아니라 수리시간이 대폭 늘어나기 때문에 사실상 활용하기 어렵고 잘못 누를 경우 기지 레벨업 자원이 모자라 뒤쳐질 수 있다. 그나마 기지레벨 7 부근부터는 항공모함이나 전투순양함을 미리 생산하는 용도로는 생각해 볼만하다.
해당 함급 조선소를 개발한 후에는 기존 생산라인에서 생산하는 것과 차이가 없어지는데, 결합 생산라인은 다른 생산라인과는 다르게 주력함, 초주력함, 함재기 모두 생산 가능하므로 초주력함이 많이 터졌을때는 초주력함 라인과 동시에 초주력함을 생산해 빠르게 복구하거나 함재기가 많이 터졌을 경우 함재기 생산 라인과 동시에 함재기를 생산해서 빠르게 함재기를 복구 할 수 있다.
2) 기지 레벨 2
시설: 일반포트2 5레벨, 소형 종합공장 1레벨, 거주구역 1레벨(동원령 사용) - 기지 레벨업 - 연락 지휘 본부 1레벨 - 남는 시간 소형 종합 공장, 수리 도크, 결합생산라인 개발
행동: (연락 지휘 본부 개발 후) 정찰기로 항로 통신소 연락 - 동원령 및 수리용 모듈 최대 구매
2레벨 이상 사략선 2번 이상 격파
호위함에 전투 EXP 축적해 테크포인트 7점 획득(전투 데이터칩 사용해도 무관)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의 무인기 시스템 강화 1회(용량 먼저 투자) 완료
탐색(정보 수집) 1회
생산: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함대 지휘 포인트 60이상이 되도록 함선 생산(엔지선도 지휘 포인트에 포함)
필수 시설 중 일반포트2가 가장 요구 레벨이 많으므로 동원령은 우선적으로 일반포트2에 사용해서 개발속도 밸런스를 맞춘다. 그 후 기지 레벨업을 눌렀으면 6시간의 시간이 남게되는데, 그 다음 개발 우선순위는 연락 지휘 본부 1레벨과 소형 종합 공장이다. 연락 지휘 본부는 항로 통신소에 연락을 해서 동원령과 수리용 모듈을 트레이드해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며, 자원 생산 시설은 일찍 눌러준 만큼 돌아오는 자원량이 많기 때문이다. 연락 지휘 본부는 1레벨만 찍어도 충분하다. 개발 후 아직 다음 레벨업 까지 시간이 남는다면 수리 도크를 올려주고 기지 1레벨에서 다 못찍은 호위함 조선소, 주력함 생산라인1을 개발해도 좋다.
이 때 사략선이 잘 잡힌다고해서 높은 레벨 사략선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함선을 잃지않도록 전투를 유의해서 보는 것이 좋다. 초반 사략선 함대는 어뢰나 미사일 무기를 보유하는경우가 많아 열무시 공격을 하므로, 전열이 잘 버텨도 후열 호위함이 터지는 경우가 많다. 노마 지원형이 있다면 이 때 큰 도움이 된다.
연락(통신) 할 때에는 좀 멀어도 7렙이상 도시에서 연락하는게 좋은데, 주변에 있는 2렙 항로 통신소는 사략선이 틈만나면 방어를 걸어서 방해하고 물품도 별 볼일없는 반면에 7렙이상 도시는 그런 방해없이 좋은 물품을 거래할 수 있다. 트레이드(동원령, 수리모듈 교환)에서 차이점은 없으나 교역에서 파는 자원팩이나 무기 테크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UEC를 소모해서 살 수 있는 자원팩은 하루에 최대 5개까지 살 수 있는데, 7레벨 이상에서 구매 할 수 있는 대형 에너지 보급팩은 자원팩 중에 가장 효율이 좋다.
3) 기지 레벨 3(최대 군사포트 110)
시설:
(Route 1)금속 제련공장 2레벨, 크리스탈 합성 공장 2레벨 (동원령) - 일반 포트3 2레벨, 구축함 조선소 1레벨, 주력함 생산라인1 1레벨 (동원령) - 일반 포트3 5레벨, 주력함 생산라인1 5레벨, 무역 관리 센터 1레벨 (동원령) - 기지 레벨업 - 남는 시간 금속 제련공장, 크리스탈 합성 공장, 증원 지휘본부(메인퀘스트) 개발
(Route 2) 일반 포트3 5레벨, 주력함 생산라인1 5레벨, 무역 관리 센터 1레벨 (동원령) - 기지 레벨업 - 금속 제련공장 2레벨, 크리스탈 합성 공장 2레벨 - 구축함 조선소 1레벨 - 남는 시간 금속 제련공장, 크리스탈 합성 공장, 증원 지휘본부(메인퀘스트) 개발
행동: 3레벨 이상 사략선 2번 이상 격파
크리스탈 생산량 750 달성
생산: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함대 지휘 포인트 100이상이 되도록 함선 생산(엔지선 미포함)
Route1은 메인 퀘스트를 먼저 클리어해서 자원을 챙겨 안정적으로 기지를 레벨업하는 방향이고, Route2는 가능한 최대로 금속을 모아서 기지 레벨업 먼저 누르고 메인 퀘스트를 충족시키는 방향인데 기지 레벨업은 가장 빠르지만 자원이 부족할 위험이 존재하긴 한다. 기지 가까이에 2렙 금속이 있다면 충분히 도전해볼만하다.
기지 레벨업 후 남는 시간동안에는 획득 자원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금속 제련공장, 크리스탈 합성 공장을 개발하되, 기지 레벨업이 얼마 남지 않았을때 타이밍 맞게 증원 지휘 본부를 개발해줘서 메인퀘스트가 넘어갈 수 있게 만든다.
여기서 의외의 걸림돌로 크리스탈 생산량 750이 있는데, 이걸 만족 못시켜서 메인퀘스트 클리어가 지체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이 때문에 신경써서 채굴해 주는 것이 좋다.
구축함 조선소를 건설했기 때문에 구축함을 만들 수 있는데, AC721 중형 화물 구축함을 생산해서 엔지니어링 함선이 포함되게 함대를 만들어 채굴을 보내면 스토리지 용량이 늘어나서 생산량이 증가한다.
엔지니어링 함선은 채굴할수록 경험치가 쌓여 업그레이드를 해줘야하는데 자세한 채굴 효율은 위 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AC가 늘려주는 용량이 매우 크기때문에 AC를 같이 붙여서 채굴하는 경우 채굴속도를 먼저 올려는게 낫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약하자면 AC를 뽑기전까지는 소형 엔지니어링 함선을 용량 위주로 업그레이드 하되, AC를 뽑기 시작하면 채굴속도 우선으로 업그레이드를 바꾸고, 기지에서 멀리 위치한 자원을 캐러가는 엔지선에 우선하여 AC를 붙이면 된다.
4) 기지 레벨 4(최대 군사포트 160)
시설: 전초기지 지휘본부 1레벨,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조선소 1레벨 (동원령) - 일반포트4 5레벨, 확장 창고 5레벨(동원령) - 기지 레벨업 - 듀테륨 전기 분해공장 3레벨 - 남는 시간 자원 생산시설(금속 제련공장, 크리스탈 합성공장, 듀테륨 전기 분해공장) 개발
행동: 4레벨 이상 사략선 1번 이상 격파
생산: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조선소 개발 이후)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구축함 4대이상 보유
전초기지를 최초로 지을 수 있는 레벨이라서 가장 중요하다. 미리 자원지에 보내둔 정찰기에 엔지선을 증원해서 가능한 남들보다 빠르게 전초기지를 짓고 이전해서 자원지를 확보하는게 기본적인 전략이며, 이 때 좋은 자원지를 얻어놔야 후반부의 전체적인 기지 레벨업이 순탄해진다. 전초기지 제작에 금속 100K, 크리스탈 10K가 필요한데, 초반에 크리스탈 10K는 상당한 자원이라 건설할때 크리스탈이 부족해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미리 크리스탈을 모아놓을 필요가 있다.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조선소도 우선적으로 만들어야하는데, 소형 엔지를 가능한 중형 엔지로 빠르게 바꿔줘야 그만큼 경험치를 빨리 먹이고 채굴 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중형에서 대형 엔지로 넘어갈때도 마찬가지이다.
기지 레벨업을 누르고 나면 자원 생산시설인 금속 제련공장, 크리스탈 합성공장, 듀테륨 전기 분해공장을 올려주면된다. 듀테륨 전기 분해공장은 최소 3레벨은 올려야 메인퀘스트 충족이 되므로 잊지않도록한다.
5) 기지 레벨 5(최대 군사포트 360)
시설: 군사포트1 5레벨, 기지 근접 방어 시스템 3레벨(동원령) - 기지 레벨업 - 남는 시간 자원 생산시설(금속 제련공장, 크리스탈 합성공장, 듀테륨 전기 분해공장) 개발 - 함재기 플랫폼 3레벨, 함재기 생산 라인 3레벨(메인퀘스트) 개발 - 무역 관리 센터 or 전초기지 지휘 본부 개발
행동: 4레벨 이상 사략선 3번 이상 격파
구축함에 전투 EXP를 축적해 설계도 테크 포인트 4점 획득(전투 데이터칩 사용해도 무관)
함재기 배치 1회
생산: 함대 지휘 포인트 200이상이 되도록 함선 생산(엔지선 미포함)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이 구간의 메인 퀘스트는 주는 자원이 그리 크지 않다. 기지 레벨업을 누르고 기다리는 동안에는 아직 다 올리지 못한 자원 생산시설들을 먼저 올리되 함재기 플랫폼 3레벨, 함재기 생산 라인 3레벨은 메인퀘스트 클리어에 필요한 조건이므로 기지 6레벨로 올라가기전에 시간을 맞춰서 개발한다. 만약 시간이 추가로 남았다면 무역 관리 센터이나 전초기지 지휘 본부 레벨을 올려준다. 후반부로 갈수록 듀테륨과 크리스탈도 금속으로 변환해야하는 일이 종종 생기며, 맵에 있는 UEC 포트에 전초기지 도킹을 해 UEC 수급량을 늘리면 항로 통신소로 대형 자원팩을 수급하기 용이해진다.
6) 기지 레벨 6(최대 군사포트 360)
시설: 자원 포트1 5레벨(동원령), 주력함 생산 라인3 3레벨 - 기지 레벨업 - 채집 지휘본부 1레벨 - 순양함 조선소 1레벨, 고급 창고 5레벨 - 남는 시간 자원 생산 시설, 무역 관리 센터, 서브 함대 지휘 본부1 개발
행동: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의 무인기 시스템 강화 1회(AC없으면 용량 먼저) 완료
생산: 함대 지휘 포인트 300이상이 되도록 함선 생산(엔지선 미포함)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여기까지 올라왔으면 어느정도 감이 잡혔을 텐데 기지 시설 개발은 동시에 2개가 가능한데, 필수 시설 중 어떤건 5레벨, 어떤건 3레벨 이렇게 요구하여 어느 한쪽이 더 빠르게 개발되서 만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시간이 더 필요한 시설에 중점적으로 동원령을 사용하여 둘 다 동시에 끝내게 만들어주는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전략이다.
기지 레벨업을 누르고 메인퀘스트에 필요한 시설을 충족하고나면 남는 시간동안 선택지가 다양한데 아직 자원 생산 시설을 다 올리지 못했다면 자원 생산시설을, 그 다음에는 무역 관리 센터를 최대한 개발해주는게 좋다. 그 후에도 시간이 남았다면 전초 지휘본부를 개발해 UEC 추가 도킹을 하거나, 함재기 플랫폼이나 함재기 생산라인을 더 개발하거나 서브 함대 지휘 본부1을 개발해서 함대 2개를 굴릴 준비하는 것도 좋다.
채집 지휘본부를 개발하면 하급 채굴 플랫폼을 건설 할 수 있다. 하지만 작전구역을 만들어서 캐는 것과 비교하면 채굴효율은 3%밖에 안올려주고 플랫폼 안에서는 일반 이동으로 이동하므로, 작전구역을 만들고 워프하며 채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굳이 건설할 필요는 없다. 대신 하급 채굴 플랫폼은 주로 자원지대를 미리 선점해 놓는 용도로 사용한다.
순양함 조선소를 개발해서 순양함을 생산 할 수 있게 되는데, 순양함은 생산비용도 상당하고 어느정도 물량이 갖춰지기 전까지는 전투에서 파괴될 확률이 높아 급한것이 아니면 6레벨에서 바로 순양함을 생산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기지 레벨 6 부터는 워프 항행거리 제한이 1500GM에서 3000GM으로 늘어나 원거리 이동이 좀 더 편리해진다.
7) 기지 레벨 7(최대 군사포트 550)
시설: 자원 포트2 5레벨, 군사 포트2 5레벨(동원령) - 기지 레벨업 - 남는 시간 자율 개발 - 초주력함 생산 라인1 1레벨, 전투 순양함 조선소 1레벨
행동: 7레벨 이상 사략선 1번이상 격파
생산: 중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기존에는 중급채굴 플랫폼을 짓는것을 추천했지만 패치 이후 자원 당 붙일 수 있는 엔지니어링 함선 개수에 제한이 사라졌기 때문에 중급채굴 플랫폼도 채굴 용도에는 사실상 필요가 없어졌다. 기지와 가까운 금속에 엔지선을 집중시킨다. 시간 당 금속 채굴량이 500K이상 정도가 되면 거의 막힘없이 계속해서 시설을 올릴 수 있다.
기지 레벨 7부터는 메인 퀘스트로 얻는 자원은 생산량에 비해 적어서 큰 도움은 되지 않기때문에 메인퀘스트 진행은 사실상 무시해도 된다. 그래도 시설을 올리다보면 대부분 만족하게 된다. 기지 레벨업을 누르고 남는 시간에는 자율적으로 필요한 시설을 개발하다 기지 레벨업 하기 전 시간을 맞춰서 초주력함 생산 라인1, 전투 순양함 조선소 1레벨을 올리면 적절하다. 개인적으로는 유지보수 종합공장을 지어서 미리 수리모듈을 모아놓아 기지 레벨8에서 대형 엔지니어링 함선 생산을 대비하거나, 항모 생산 준비로서 함재기 생산 시설이나 함재기 플랫폼을 개발해 놓는 것을 추천한다.
전투 순양함 조선소를 개발하면 전투 순양함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데, 순양함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필요 자원이 엄청나므로 만약 필요하다면 기지 레벨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생산하는 것을 추천한다. 초주력함은 모두 해당하는 사안으로소 생산 전에 설계도에서 미리 모듈을 추가해서 달아놓으면 생산 비용이 엄청나게 증가하므로, 생산 전에는 깡통상태로 최대한 생산 해준 다음에 모듈을 달아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미 모듈을 달아놓았다면 모듈을 아예 빼는 것은 서버가 끝나기 전까지는 불가능하므로 미리 유의 하는게 좋다.
다음 기지 레벨부터는 고급 채굴 플랫폼과 대형 엔지니어링 함선을 만들 수 있다. 고급 채굴 플랫폼은 금속 1M, 크리스탈 150K, 대형 엔지니어링 함선은 하나 당 금속 120K, 크리스탈 15K, 듀테륨 9K을 요구하므로 크리스탈 소모량이 엄청나기에 여기서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8) 기지 레벨 8(최대 군사포트 800)
시설: 공정 플랫폼 조선소 1레벨, 정제 플랫폼 연구 센터 1레벨(동원령) - 군사 포트3 5레벨(동원령), 고급 창고 3레벨 - 기지 레벨업 - 남는 시간 자율 개발
생산: (공정 플랫폼 조선소 개발 이후) 대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고급 채굴 플랫폼 건설과 대형 엔지선 생산을 마쳤다면, 여기부터는 사실상 따로 공략이 필요 없어진다. 원하는 시설을 개발하되 전투 시 항모 유무 차이가 극심하므로, 항공 모함 조선소를 개발해서 항모 바로 생산하는 걸 추천한다. 빠르게 기지 레벨업을 해왔다면 이 때문에 전투에서 상당한 우위에 설 수 있다. 생각보다 쌓이는 자원이 많으므로 고급 창고도 여기서 모두 올려주는게 좋다.
9) 기지 레벨 9 (최대 군사포트 1300)
시설: 자원 포트3 5레벨 - 필드 지휘 본부, 군사 포트4 개발 및 자율 개발
생산: 대형 엔지니어링 함선 자원 포트 최대치로 생산(수리용 모듈 사용)
자원 포트를 먼저 개발해서 자원 생산량을 최대화 시킨 후 필드 지휘 본부와 군사 포트4를 개발하면된다. 금속이 정말 많이 필요하므로 막힘없이 누르려면 고급 채굴 플랫폼에서 대형 엔지 최소 6개는 금속에 할당해야 한다.
번외) 탐색
서버를 시작하면 맵에 시야가 밝혀지지 않고 어두운 부분이 있다. 시야가 밝혀지지 않은 지역에 함대를 배치하면 탐색이 진행되면서 시야가 밝혀진다. 동시에 라그랑주 로어(설정), 자원과 UEC, 전투데이터 칩, 함선(TE)도 랜덤으로 얻을 수 있다. 연합에 소속되어 있으면 연합원이 탐색한 지역도 시야가 보이지만, 시야만 보이고 내가 탐색한 지역으로는 취급되지 않아서 내가 직접 탐색을 하면 동일하게 위의 물자를 얻을 수 있다.
탐색으로 미리 시야를 밝혀놔야 선점할 자원지를 찾아놓을 수 있고, 자원과 데이터칩 얻을 수 있으므로 초반에 남는 전술포인트는 정찰기를 이용하여 탐색에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지 레벨이 올라갈 수록 탐색 보상이 강화되는데 기지 레벨 7~8정도 되면 대형 전투데이터 칩을 아주 흔하게 얻을 수 있다. 그렇다고 너무 안하고 묵히면 은하계 이벤트 진도 진행으로 맵이 모두 밝혀져 탐색 기능이 아예 사라지기 때문에 전술포인트가 되는대로 탐색하는 것이 좋다.
'게임 > 인피니트 라그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피니트 라그랑주 EXP(경험치) 계산기 (0) | 2023.06.13 |
---|---|
인피니트 라그랑주 테라리움(Vivarium) 가이드 (1) | 2023.06.10 |
인피니트 라그랑주 영어 용어 정리 (0) | 2022.08.03 |
인피니트 라그랑주 테크 파일 가성비 비교 (0) | 2022.07.26 |
인피니트 라그랑주 연구 협약(Research Agreement) 가이드 (0) | 2022.05.21 |